Database초보우낙
24. RMAN을 사용해서 hotbackup 본문
사용자 관리 hot backup은 begin backup을 일일히 수행해서 백업모드로 변경해주고나서 백업을 해야했다
그리고 끝나면 일일이 end backup을 해야했지만 Rman은 이런 작업이 필요없다
alter database open;
#1. db가 오픈 상태인지 확인
#2. Rman으로 접속
rman target sys/oracle nocatalog
#3. 전체 백업
backup database include current controlfile;
위에서 백업받은 rman백업본은 fast recovery area 영역에 저장된다
fast recovery area 영역의 공간이 부족하면 백업이 안된다
그러므로 fast recovery area 영역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fast recovery area 영역이 얼만큼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SQL을 사용
SELECT
NAME,
SPACE_LIMIT / 1024 / 1024 AS "Space Limit (MB)",
SPACE_USED / 1024 / 1024 AS "Space Used (MB)",
SPACE_RECLAIMABLE / 1024 / 1024 AS "Space Reclaimable (MB)",
NUMBER_OF_FILES AS "Files"
FROM
V$RECOVERY_FILE_DEST;
db_recovery_file_dest_size를 10G로 늘리세요
alter system set db_recovery_file_dest_size=10G;
'백업과 복구 > 백업과 복구(R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Rman을 사용해서 Non system datafile 손상시 복구하기(open상태) (0) | 2024.04.15 |
---|---|
26. Rman을 사용해서 Non system datafile손상시 복구하기(mount상태) (0) | 2024.04.15 |
25. Rman을 사용해서 특정 Tablespace만 백업하기 (0) | 2024.04.14 |
23. RMAN을 사용해서 완전 복구하기 (0) | 2024.04.14 |
Rman에서 반드시 알아야하는 명령어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