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초보우낙
34.Rman을 사용해서 cancel base 불완전 복구하기 본문
current redo logfile을 삭제되었을 때 불완전 복구를 시도하는 실습
월요일에 백업받은 모든 datafile들을 복원하고 archive log file을 적용해서 현재로 끌어오는데 current redo logfile을 적용할거냐고 물어볼때 cancel을 해서 불완전 복구를 할것이다
■ 실습
#1. Rman으로 full backup을 수행
#2. 로그 스위치를 3번 일으킨다
#3. 체크포인트를 일으킨다
#4. current redo log file이 뭔지 확인
#5. shutdown abort
#6. current redo log file을 rm으로 삭제
#7. startup <----redo log가 없어서 mount에서 안올라온다
#8. 에러가 난 원인을 파악한다
#9. Rman으로 접속
#10. cancel base불완전 복구를 시도한다
#11. resetlogs로 db를 올린다
#12. full backup 수행
◆ 구현
#1. Rman으로 full backup을 수행
backup database;
#2. 로그 스위치를 3번 일으킨다
@logsw
/
/
/
#3. 체크포인트를 일으킨다
alter system checkpoint;
#4. current redo log file이 뭔지 확인
@log_status
@logfile
#5. shutdown abort
#6. current redo log file을 rm으로 삭제
#7. startup <----redo log가 없어서 mount에서 안올라온다
#8. 에러가 난 원인을 파악한다
redo01.log와 redo01b.log가 없다
select group#,status,sequence#,thread#
from v$log;
▲ 설명
thread번호란 어느 인스턴스의 redo log group인지를 나타내는 번호
rac일때 유용한 컬럼이고 지금처럼 싱글인스턴스일때는 이 번호가 무조건 1번이다.
sequence# = 7번
thread# = 1번
#9. Rman으로 접속
Rman targat sys/oracle nocatalog
#10. cancel base불완전 복구를 시도한다
run {set until sequence 7 thread 1;
restore database;
recover database;
}
Finished recover이 떠야 복구가 완료
#11. resetlogs로 db를 올린다
alter database open resetlogs;
#12. full backup 수행
backup database;
'백업과 복구 > 백업과 복구(R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Rman을 사용했을 때 백업본이 없을 때 복구방법 (0) | 2024.04.23 |
---|---|
35. Rman을 사용하지 않고 백업본이 없을 때 복구하는 방법 (0) | 2024.04.23 |
33.Rman을 사용해서 time base 불완전 복구하기 (0) | 2024.04.15 |
32.파라미터 파일이 손상되었을때 Rman으로 복구 (0) | 2024.04.15 |
Tip. Rman으로 공간확보하기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