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초보우낙
36. Rman을 사용했을 때 백업본이 없을 때 복구방법 본문
■ 실습
#1. ts91테이블 스페이스를 생성
#2. ts91테이블 스페이스에 emp91 테이블을 scott유저에서 생성
#3. 데이터를 emp91 테이블에 입력하고 로그 스위치를 일으킨다(3번반복)
#4. shutdown abort
#5. os에서 ts91.dbf를 삭제
#6. startup
#7. 복구해야하는 파일 조회
#8. 문제가 되는 데이터파일을 offline
#9. db를 open
#10. Rman으로 접속
#11. 문제가 되는 데이터 파일번호를 가지고 restore
#12. 문제가 되는 데이터 파일번호를 가지고 recover
#13. emp91 테이블이 잘조회되는지 확인
◆ 구현
#1. ts91테이블 스페이스를 생성
creatae tablespace ts91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91.dbf' size 5m;
create tablespace ts91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91.dbf' size 5m;
#2. ts91테이블 스페이스에 emp91 테이블을 scott유저에서 생성
connect scott/tiger
create table emp91
(empno number(10) ,
ename varchar2(10) )
tablespace ts91;
#3. 데이터를 emp91 테이블에 입력하고 로그 스위치를 일으킨다(3번반복)
#4. shutdown abort

#5. os에서 ts91.dbf를 삭제

#6. startup

18번이 문제
#7. 복구해야하는 파일 조회
select * from v$recover_file;
select file#, name
from v$datafile
where file# = 18;
#8. 문제가 되는 데이터파일을 offline
alter database datafile 18 offline;

#9. db를 open
alter database open;
#10. Rman으로 접속
#11. 문제가 되는 데이터 파일번호를 가지고 restore
restore datafile 18;

creating datafile file number=18 name=/u01/app/oracle/oradata/Ouh/ts91.dbf
없어서 만들었다!
#12. 문제가 되는 데이터 파일번호를 가지고 recover
recover datafile 18;

#13. 복구한 datafile을 online

#14. emp91 테이블이 잘조회되는지 확인

정리: Rman을 이용하면 백업본이 있든 없든 다 복구가 된다
다만 반드시 아카이브모드여야 가능하다
문제1. 아래의 테이블 스페이스를 생성하세요
create tablespace ts95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95.dbf' size 5m;
create tablespace ts96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96.dbf' size 5m;
문제2. 로그 스위치를 3번 일으키고 체크포인트를 일으킨다
문제3. 짝꿍과 자리를 바꾸세요
@datafile.sql
지우고 싶은 파일 3개를 골라서 삭제하세요
shutdown abort로 db를 내리고 오세욘


9,10,11이 문제
alter database datafile 9,10,11 offline;
alter database open
--Rman으로 접속 후 진행
restore datafile 9,10,11;
recover datafile 9,10,11;
alter database datafile 9,10,11 online;
'백업과 복구 > 백업과 복구(R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Rman을 사용하지 않고 백업본이 없을 때 복구하는 방법 (0) | 2024.04.23 |
---|---|
34.Rman을 사용해서 cancel base 불완전 복구하기 (0) | 2024.04.15 |
33.Rman을 사용해서 time base 불완전 복구하기 (0) | 2024.04.15 |
32.파라미터 파일이 손상되었을때 Rman으로 복구 (0) | 2024.04.15 |
Tip. Rman으로 공간확보하기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