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백업과 복구 (43)
Database초보우낙

■ 장애 상황 시나리오 ※ 현장에서의 경험 테이블 스페이스에 공간을 추가할 때 무리하게 여러 개의 DATA FILE을 한번에 넣어서 추가를 하게 되면 controlfile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 실습 #1. 현재 database의 db id를 조회 #2. 컨트롤 파일을 생성하는 스크립트를 생성 #3. Rman으로 접속해서 control file이 자동백업되도록 설정 #4. Rman 에서 Datafile중에 아무거나 하나를 백업 #5. control을 직접 Rman으로 백업 #6. controlfile의 위치를 확인 #7. shutdown abort #8. 모든 controlfile을 전부 삭제 #9. startup #10. shutdown abort #11. startup mount #1..

지금 현재 datafile들이 전부 online되어있는지 확인 select file#, status from v$datafile; 만약 오프라인일경우 alter database datafile 번호 online; ■ 실습 #1. 데이터 파일들의 위치를 확인 #2. 컨트롤 파일들의 위치를 확인 #3. redo log file들의 위치를 확인 #4. Rman으로 접속해서 Rman이 DB의 구조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5. Rman으로 full backup을 수행 #6. shutdown abort로 DB를 내린다 #7. 모든 data file들을 전부 삭제 #8. startyo을 시도 #9. 복구해야할 파일들이 무엇인지 ㅎ확인 #10. 전체 데이터 파일들을 복원 #11. 전체 데이터 파일들을 복구 #12. ..

system datafile들이란? database를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data들이 있는 파일들 만약 이 파일들이 손상되면 mount상태에서 복구할 수 밖에 없다 ■실습 #1. shutdown abort를 합니다 #2. os에서 system01.dbf와 sysaux01.dbf를 삭제 #3. startup #4. select * from v$recover_file; #5. Rman으로 접속 #6. 문제가 되는 datafile을 복원 #7. 문제가 되는 datafile을 복구 #8. db를 오픈시킨다 ◆ 구현 #1. shutdown abort를 합니다 shutdown abort #2. os에서 system01.dbf와 sysaux01.dbf를 삭제 oradata rm system01.dbf rm sys..

■ 실습 #1. shutdown abort #2. os에서 ts5000.dbf를 삭제 #3. startup

■ 실습 #1. ts5000.dbf 를 os에서 삭제 oradata rm ts5000.dbf #2. db를 내렸다가 올리기 startup force #3. rman으로 접속 rman target sys/oracle nocatalog #4. 복구해야할 파일이 뭔지 조회 list failure; select * from v$recover_file; #5. 문제가 되는 data file을 복원 restore datafile 12; #6. 문제가 되는 data file을 복구 recover datafile 12; #7. db를 오픈 alter database open;

■ 실습 #1. ts5000이라는 테이블 스페이스를 생성 create tablespace ts5000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5000.dbf' size 10m; #2. rman을 이용해서 ts5000테이블스페이스를 hot백업 rman target sys/oracle mocatalog backup tablespace ts5000; list backup of tablespace ts5000; 문제1 ts6000테이블 스페이스를 생성하고 rman으로 백업받기 create tablespace ts6000 datafile '/u01/app/oracle/oradata/Ouh/ts6000.dbf' size 10m; backup tablespace ts6000; list..

사용자 관리 hot backup은 begin backup을 일일히 수행해서 백업모드로 변경해주고나서 백업을 해야했다 그리고 끝나면 일일이 end backup을 해야했지만 Rman은 이런 작업이 필요없다 alter database open; #1. db가 오픈 상태인지 확인 #2. Rman으로 접속 rman target sys/oracle nocatalog #3. 전체 백업 backup database include current controlfile; 위에서 백업받은 rman백업본은 fast recovery area 영역에 저장된다 fast recovery area 영역의 공간이 부족하면 백업이 안된다 그러므로 fast recovery area 영역의 공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fast recovery a..

오라클의 백업과 복구 Rman을 사용하지 않았을때의 백업과 복구 Rman을 사용했을때의 백업과 복구 Rman( Recovery Manager) recovery catalog db를 사용안했을 때 recovery catalog db를 사용했을 때 백업해야할 database가 여러 개이면 recovery catalog db를 사용하는게 권장된다 ■ 실습 #1. Rman으로 접속이 잘되는지 확인 rman target sys/oracle nocatalog #2. 빠져나와서 sys유저로 접속해서 db를 shutdown immediate로 내린다 exit로 빠져나올 수 있다 #3. startup mount로 올린다 #4 rman으로 접속해서 데이터 베이스 full backup을 수행 rman target sys/o..
Rman에서 반드시 알아야하는 명령어 #1. 현재 장애상황을 보고해라 list failure; #2. 해결방법을 알려달라 --> 나오면 자동으로 복구 가능 advise failure; / advise failure all; #3. 알려준 해결방법으로 직접 복구해라 (yes 입력해야함) repair failure; -- 복구를 자동으로 진행해라 yes

모든 datafile과 controlfile과 redo log file이 전부 삭제되었다면 current redo log file도 삭제된 상태이다 월요일에 백업받은 datafile들과 controlfile들 모두 복원한다 그리고 cancel base 불완전 복구 방법으로 불완전 복구를 시도한다 그런데 이때 controlfile도 백업받은 것을 가져왔으므로 recover database using backup controlfile until cancel; 로 복구해야한다 ■ 실습 #1. cold backup #2. controlfile을 생성하는 스크립트를 생성(백업, 복구 실패시 선생님에게 SOS를 위하여) #3. shutdown abort #4. 모든 datafile과 controlfile과 redo..